담배갑과의 크기 비교

외부 장갑 탈거
새롭게 적용된 크로스 실루엣 프레임 2
건프라용 CS 프레임(좌측)과의 비교.
신규 프레임에는 고관절 회전 기믹까지 적용되어
다리의 가동범위가 대폭 넓어졌습니다.
CS 프레임의 무릎과 팔꿈치 관절을 분리하여 SD 프레임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팔다리가 짧아진 SD 프레임.
호버 파일더 분리
호버 파일더
악세사리들.
편손의 손바닥에는 골다공증이 보입니다.
제트 스크랜더는 허리 파츠를 통채로 교환하여 장착하는 방식입니다.
제트 스크랜더의 날개 방향을 바꿀 수도 있네요.

SD답지 않은 우수한 가동성
무릎 앉아 포즈도 가능합니다.
각종 액션 포즈들
무릎과 팔꿈치 관절을 떼어내어 SD 모드로 만들 수 있습니다.
눈부분도 좀더 커진 SD 모드용 파츠로 교환할 수 있네요.
짤뚱해진 SD 모드.
귀.. 귀엽습니다.. ;;
SD모드와 CS모드의 비교
SD모드 상태에서는 취할 수 있는 포즈가 제한적이긴 하네요.
SD 모드 상태에서 SDCS 퍼스트 건담과 함께.
메카닉 콜렉션 마징가 Z와 함께.
SD 크로스 실루엣 라인업에 건담계 외의 기체들도 추가되었는데, 그 첫 타자로 마징가 Z가 발매되었습니다. 형태가 다르다보니 크로스 실루엣 프레임 (이하 CS프레임)도 새로운 구조가 적용되었는데, 훨씬 많은 부품이 동원되면서 여러모로 업그레이드되었네요.
프레임 자체의 정밀도도 높아졌지만 결정적으로 가동성이 좋아졌는데, 특히 고관절이 180도 회전하는 파츠가 추가되면서 다리의 가동범위가 대폭 넓어졌습니다. 아무래도 스커트 없이 빤쓰(...)만 입은 하체 디자인이다보니 이런 아이디어를 추가한 듯 한데, 덕분에 무릎 앉아 같은 고난이도 포즈도 가능해졌네요.
또한 검은색과 파란색 외장 장갑은 그로스 인젝션으로 사출되어 유려한 광택이 흐르고 있으며, 전체적인 프로포션도 안정적이라 가조립만으로도 수준 높은 비주얼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외에 호버 파일더의 탈착이라던지 로켓 펀치용 이펙트 파츠, 제트 스크랜더와 같은 핵심 악세사리도 제공되고 있는 등, 구성적인 면도 만족스럽네요.
새로운 CS프레임 2의 경우는 팔꿈치와 무릎 관절을 떼어내어 SD모드로 만들수 있는데요. 더불어 눈 파츠도 좀더 커진 형태의 SD 모드용 눈으로 교체할 수 있긴한데, 눈의 크기 차이가 그리 크진 않아서 티가 확 나는 느낌은 아닙니다. 이렇게 완성된 SD모드는 CS모드에 비해 훨씬 짤뚱하지만, 갑자기 아이가 된 듯 엄청 귀여워지긴 하네요 ^^; SD모드는 팔꿈치와 무릎이 붙박이라 취할만한 포즈가 제한되지만, 귀염성 하나는 정말 먹어주는 비주얼이긴 합니다.
전체적으로 높은 품질감과 비주얼 및 기능적 만족도를 주는 킷으로서, SD를 좋아하고 마징가에 관심있는 분이라면 강추하고 싶은 재미있는 프라모델이네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