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체의
부품도
몸체
정면샷, 후면샷
어깨의
머쉰 캐논은 당연~히 오픈.
그냥 뚜껑만 열리는게 아니라 포신도
약간 같이 연동하여 올라가게 되어 있습니다.
콕핏
해치 오픈. 파일롯 히이로 유이가 보입니다.
허리의
빨간 부분은 연질 고무인데, 재질이 찌그러진채 성형되어 나와있더군요.
몸체에
끼우고나면 고정핀들 덕에 형상은 제대로 나오니 걱정은 없습니다.
허리는
메탈제의 이중 볼관절에다가 고무재질의 허리부품덕에 그럭저럭 가동이..
스커트
내부의 몰딩.
장갑
탈거. PG치고는 장갑이 탈거되는 부위가 좀 많이 적습니다. -_-
게다가
실제로 전선연결을 하고 이걸 다 떼어내지도 못하지요.
위 사진은
조립과정중에 찍은 사진입니다. 이게 무슨 얘기냐면..
완전히
조립을 마치고 나면 백팩과 몸체-머리가 전선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실제
상체 뒷장갑, 목부분 부품, 머리, 백팩 등은 한덩어리가 되서, 탈거가
불가능합니다.
왜이렇게 만들어 놨는지 거시기하군요 -.-;
게다가
또 이런 부분이.. 똥꼬부분에도 매우 그럴싸한 내부 프레임이 있지만(화살표부분)
뒷부분
스커트가 탈착형이 아니라 조립완성형이라, 실제 조립을 완료하면 탈거하기가
무척
어렵습니다.
백팩조립을
하기 전에 장갑을 탈거한 내부 프레임샷. 별로 뵈는게 없습니다. ㅠ.ㅠ
가슴의
램프는 LED + 멕기 반사판으로 구성되어 진짜 후레쉬같은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PG
윙제커의 다리연결 하체 관절은 죄다 다이캐스팅 메탈제로 되어 있습니다.
아마도
등짝의 날개를 지탱하기 위해 견고하고 무게감있게 구현하려 한 듯한데,
꽤 그럴듯하지요.
쇠로
된 볼관절들은, 위의 특수한 윙제커의 나사구조로 고정됩니다.
나사
머리 밑에 스프링판이 있는 나사를 반대쪽 끝에 있는 와셔와 결합하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나사를 조이는 정도에 따라서 가동의 뻑뻑한 수준을 조립자가 직접 적당히
조절할 수 있습니다.
내구성 입장에서 상당히 유리한 구조이죠.
이런 스프링판식 나사는 몸 전체 여러군데에 적용됩니다.
다리와의
연결부들도 모두 다이캐스트 재질.
왼쪽과 오른쪽 부품을 헷갈리지
않도록 메탈 표면에 R, L 하고 친절하게 몰드해두었군요. ^^
다리
연결 메탈까지 완성한 하체 관절.
이곳의 볼관절 역시, 스프링판
나사를 이용하여 그 뻑뻑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어찌보면
등짐이 큰 기체의 자립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부위가 바로 여기,
다리와
몸체를 연결하는 부위라 할 수 있지요.
친절하게도, 이렇게 관절의 강도를 조절하는 스프링팡 나사를 조립 후에도
조절할 수 있도록,
나사를 가리는 부분이 개폐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완성 후에도 스커트를 열고 뚜껑을 살짝 열면 드라이버로 관절강도 조정이
가능한 것이죠. Very Nice..
유~명~한 PG
윙제커의 복잡한 어깨관절.
일곱 개의 ABS 어깨관절부품을
6개의 금속제 핀으로 고정하게 되어 있습니다.
금속제 핀으로 각각
연결하면 튼튼하긴 한데, 매우 뻑뻑해서 뻰찌같은 도구로 끼워주지 않으면
힘듭니다.
이것이
윙제커의 다다다중 어깨 관절 (^^;)
무려
한쪽 어깨마다 다섯부분의 꺾임관절과 하나의 실린더가 동작하기 때문에,
위의
사진처럼 상당히 기묘하고 다양한 어깨관절의 가동이 가능합니다.
PG
윙제커에서 가장 뛰어난 부분중 하나.
그렇기
때문에 상체의 외장장갑에서도, 어깨의 움직이는 부분 구멍이 앞뒤로
길~게 뚫어져 있지요.
백팩에는
전원부가 수납되는데, 구성이 좀 복잡합니다. =_=
조립편이도는 좀
떨어집니다. 흠.
LR43
수은전지 두 개를 사용하여 가슴 램프와 머리부 LED를 켜게 됩니다.
참고로,
수은전지의 접점이 좋지 않아 불이 잘 안들어오는 경우가 있는데..
십중팔구
화살표로 지칭한 금속접점 때문입니다. 이것을 왼쪽으로 최대한 쭈~욱
빼서
왼쪽 수은전지의 +극과 잘 닿도록 신경써주어야합니다.
스위치는
백팩의 바로 아래 위치하게 됩니다.
LED
ON !
다 조립하고 나면 머리와 몸체를 분리할 수 없습니다 -
|